git
-
[Git] Git 명령어Git 2020. 9. 18. 20:01
# git status git에 의해 관리되는 파일들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한다. git status # git add 파일을 Staging Area에 올린다. git add [파일 이름] git add . # 변경 내역을 모두 한 번에 Staging Area로 올리기 # git reset 1. add되어 Staging Area에 올라와 있는 파일을 Staging Area에서 다시 내린다. git reset [파일 이름] 2. 이전 commit 내역 중 한 곳을 선택해 그 때의 상태로 돌아간다. git reset --hard [git log에서 볼 수 있는 해당 commit의 해시 값] # hard 옵션은 선택 commit 이후에 남긴 commit 기록을 완전히 없앤다. (soft는 기록을 살리고 이..
-
[Git] 간단한 git 동작원리Git 2020. 9. 17. 19:59
※ git 프로젝트의 데이터들은 파일 자체가 아닌 수정 내역을 저장하는 파일 시스템 상의 스냅샷이라고 볼 수 있다. # git 동작 원리 - 저장소 (Repository=Repo) : 실제 소스코드와 더불어 모든 작업 이력(ex. Commit 내역)이 담겨 있는 공간 - Working Directory : 작업할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- Staging Area : 커밋(Commit)을 수행할 파일들이 올라가는 영역. add 명령과 관련되어 있다. - Git Directory : Git 프로젝트의 메타 데이터와 데이터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토리. Local에 있는 ".git" 폴더에 해당. 1. 업로드 과정 (1) Working Directory에서 특정한 파일을 추가하거나 소스코드 수정을 진행하면 add ..
-
[Git] git 시작하기 : 기본 사용법Git 2020. 9. 15. 22:33
이전에 프로젝트를 하며 열심히 github을 사용했었지만, 꽤 오랜시간 잘 사용하지 않으니 다시 배워도 다시 까먹어버리는 git 사용법입니다. CLI 환경, 소스트리 사용 등 여러 방법으로 github을 사용할 수 있어 어떤 방법을 선택해 github을 관리할지 헷갈리기도 합니다. 그래서 나동빈 님의 [Git으로 시작하는 협업 및 오픈소스 프로젝트]를 통해 공부한 Github 사용법을 요약 정리하고 사용하려고 합니다. # Remote 저장소와 Local 저장소 준비하기 1. https://github.com 에서 회원가입 후 repository를 만든다. 2. https://git-scm.com에서 git 다운로드 파일을 다운받고 모든 설정을 default로 두며 설치를 진행한다. 3. 다운로드 후 Wi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