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[Git] git 시작하기 : 기본 사용법Git 2020. 9. 15. 22:33
이전에 프로젝트를 하며 열심히 github을 사용했었지만, 꽤 오랜시간 잘 사용하지 않으니 다시 배워도 다시 까먹어버리는 git 사용법입니다. CLI 환경, 소스트리 사용 등 여러 방법으로 github을 사용할 수 있어 어떤 방법을 선택해 github을 관리할지 헷갈리기도 합니다. 그래서 나동빈 님의 [Git으로 시작하는 협업 및 오픈소스 프로젝트]를 통해 공부한 Github 사용법을 요약 정리하고 사용하려고 합니다.
# Remote 저장소와 Local 저장소 준비하기
1. https://github.com 에서 회원가입 후 repository를 만든다.
2. https://git-scm.com에서 git 다운로드 파일을 다운받고 모든 설정을 default로 두며 설치를 진행한다.
3. 다운로드 후 Windows에서 명령프롬프트(cmd)를 실행하고, 모든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
cmd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환경 설정을 진행한다.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[사용자 이름]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[사용자 이메일]
4. 자신의 github repository(remote 저장소)의 내용을 똑같이 업데이트할 나의 폴더(local 저장소)를 내 컴퓨터의 어딘가에(ex. C 드라이브) 만든다.
# Remote 저장소의 파일들을 Local로 가져오기
1. cmd에서 새로 만든 local 폴더의 경로로 이동한다.
cd [새로 만든 폴더의 경로]
2. Local 저장소로 다운받길 원하는 repository의 주소를 복사해 다음 명령을 cmd에서 실행한다.
git clone [다운 받길 원하는 repository 주소]
clone은 내 컴퓨터로 다운받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좋다. 위 명령어로 clone이 완료되면, remote 저장소에 있던 파일들이 local 폴더에 그대로 옮겨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# Local 저장소의 파일을 Remote 저장소에 올리기
1. Remote 저장소에 올리길 원하는 파일을 확인하고, cmd에서 그 파일이 있는 주소로 이동한다.
cd [해당 파일이 존재하는 폴더의 경로]
2. add 명령어로 stage에 파일을 올린다.
git add [파일 이름]
3. commit 명령어로 commit 메시지와 함께 commit을 진행한다.
git commit -m "커밋 메시지"
4. push 명령어로 최종적으로 commit한 파일을 remote 저장소에 올린다.
git push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Git 명령어 (0) 2020.09.18 [Git] 간단한 git 동작원리 (0) 2020.09.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