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emory Management
-
[OS] 8-2. Memory ManagementComputer Science/운영체제 2021. 2. 25. 18:29
# Allocation of Physical Memory 메모리는 일반적으로 Interrupt vector와 함께 낮은 주소 영역을 사용하는 OS 상주 영역과 높은 주소 영역을 사용하는 사용자 프로세스 영역 둘로 나뉜다. # 사용자 프로세스 영역의 할당 방법 1. Contiguous allocation (연속 할당) 각각의 프로세스가 메모리의 연속적인 공간에 적재되도록 하는 것이다. 연속 할당 방식은 두 가지가 존재한다. - 고정 분할 방식 프로그램이 들어갈 사용자 메모리 영역을 미리 파티션(partition)으로 나눠놓는 것을 말한다. 이 경우, 동시에 메모리에 load되는 프로그램의 수가 제한되고 최대 수행 가능 프로그램 크기도 제한된다. 위 그림을 예시로 보면 메모리 영역은 이미 고정되어 나뉘어져 ..
-
[OS] 8-1. Memory ManagementComputer Science/운영체제 2021. 2. 24. 18:17
# Symbolic Address VS Logical Address VS Physical Address 1. Symbolic Address - 프로그래머 입장에서 메모리를 다룰 때, 숫자가 아닌 변수명, 함수명 등으로 메모리를 조작하는 상징적 주소 - Symbolic Address가 compile되면 숫자로 된 Logical Address가 됨 2. Logical Address (=Virtual Address) - 프로세스마다 독립적으로 가지는 주소 공간 - 각 프로세스마다 0번지부터 시작 - CPU가 보는 주소 3. Physical Address - 실제 메모리에 올라가는 위치 -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, Logical Address를 Physical Address로 주소 변환 (주소 바인딩) # 주소 ..